제49집: 시대적인 우리의 위치 1971년 10월 24일, 한국 전본부교회 Page #343 Search Speeches

지혜로운 사람이 되라

내가 일생 동안 잊혀지지 않는 일이 하나 있어요. 친구 결혼식 날인데 내가 들러리를 섰다구요. 그 때가 왜정 때인데, 목포에서 일등 가는 부자집의 외동딸이 시집 가는데 말이야. 내가 들러리도 다 서 봤어요. 나는 평안북도 정주에 있었는데 결혼식 하는 데는 부산이라구. 방학 때여서 내가 고향에 가 있다가 전보를 받았는데 들러리할 때 필요한 일체는 여기에서 다 준비했으니 들러리 준비는 불필요하다는 거예요.

이래 가지고 선생님이 준비할 것이 뭐야. 그때는 사람들이 국방복을 입던 때라서 그것을 입고 잔칫날에 그곳을 찾아간 거라구. 떡 찾아가 보니까 큰 잔치판이 벌어졌어요. 그때는 들러리가 요즘처럼 뭐 모닝코트니 하는 것을 입지 않았습니다. 예복 같은 것을 입지 않고 국방복을 입고 그냥 그대로 꽃을 달고 식을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구.

그런데 그곳에 가 보니까 신식결혼식이 떡 벌어졌더라구요. 그래 가지고 들러리 옷이라고 준비해 놨는데 그것을 떡 입으니 (행동으로) 이렇게 되었어요. (웃음) 그 옷을 내가 입겠다고 해서 입은 것이 아니라 몇 사람이 옷을 하나씩 골라 가지고 입었는데 다 맞는데 내 것만 떡 그렇게 됐더라구.

크고 작은 것이 있기나 하면 바꿔 입을 수도 있을 텐데 바꿔도 못 입게 딱 그 옷만 있으니 할 수 있어요? 이것도 내 팔자로다 별수 있나 그래 가지고 그걸 이렇게 (행동으로) 입고…. (웃음) 이래도 나와 이게. 그때 그 와이샤쓰는 왜 그렇게 긴지. (웃음) 그때 일이 일생 동안 잊혀지지 않는 거예요.

그것을 사람들이 할수없이 보고 있을 거라는 걸 알았지만, 그래도 선생님이 예민한 사람이라구. 그 사람들이야 할 수 없이 본다 하지만 내가 어울리지 않으니까 할 수 있나. 우물쭈물한 거라구. 뭐 잔치에 들러리가 아니…. 아줌마가 바라봐도, 아저씨가 바라봐도…, (웃음) 그 부모는 얼마나 창피했겠어요? 내가 그러지 않으면 좋겠는데 그러고 있으니…. (웃음) 잔치하는 주인부터 색시, 신랑 할 것 없이 전부 다 내가 그러고 있으니 잔치에서는 빵점이라구. (웃음)

그 일을 지금 생각해 보면 하나님이 보호하사…. 그렇게 생각해요. 그날 그때 느낀 것이 평생 안 잊혀지거든요. (웃음) 그런 일을 당했기 때문에 어제 어느때든지 결혼하는 사람만 보면, 그 사람들은 자기들을 생각해 줄 수 있는 들러리를 가졌으니 얼마나 복된 가정이냐 말이예요. 그런 얘기예요.

그러고 보면 선생님이 참 배포가 좋다구. 내가 해 입고 갔더라면 결혼식에 참가한 사람들의 예복 중에 세계사에 남을 수 있는 기록이 될 텐데, 해준 것을 입었으니 이건 뭐 여기도 못 믿고 저기도 못 믿는 거라구. 그렇잖아요? 그와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같이 그 환경에 어울리지 못하면 거북한 때가 있지요? 거북한 것이 극하여 차라리 죽어 버리는 것이 더 낫다 하는 때를 맞이해 봤어요? 이거 뭐 어쩔 수 없는 그런….

자, 인간세계에서도 그런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영원히 인연된 그 한 곳, 그곳은 일생을 바쳐서 찾아가 머물기를 소원하던 곳인데, 그곳에 가 가지고 그런 창피를 당한다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것입니다. 거기서 한하여 되돌아 서 가지고 `아, 이거 안 됐다'고 하면서 다시 수습할 길이 있을 수가 있느냐? 그럴 시간도 없고 또 그럴 수도 없는 입장이 되니 어떻게 할 것이냐? 그럴 때가 여러분들이 가는 생애의 종말에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한 고빗길이 반드시 남아질 것입니다. 그것을 예상해 가지고 타개할 수 있는 준비를 한 사람은 만세의 역사를 지닐 수 있는 지혜로운 사람이 아니겠느냐 이렇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통일교회에 들어와 가지고 봄날, 여름날, 가을날, 겨울날을 맞아 남아질 수 있는 통일교인은 어떠한 사람이냐? 그렇게 남아질 수 있는 사람이 지혜로운 사람이라구요. 통일교회에 어울려야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는 거예요. 알겠어요? 주인한테 어울려야 되고, 그 식구들과 어울려야 되고, 그 환경에 어울려야 되는 것입니다. 봄날이 왔다는데 `나는 가을날이야' 하며 도사리고 앉아서 짭짭하지 말라 이거예요. 가을날이 됐는데 여름날이라고 하면서 싸움이나 하는 것들은 다 서리를 맞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계절을 따라 방향을 갖추어서 그 위치에 보조를 맞추면서 가야 되는 것입니다. 그 보조를 맞추는 데 있어서 슬픔으로 맞는 패들에게는 결실이란 없는 것입니다. 마지못해서 `아이구, 선생이라는 그 괴물이 또 명령했구만' 또 `좀 잘살려고 하는데 이것이 뭐야? 언제는 뭐 축복을 해주더니 이것이 또 뭐야?' 거기에 불평 불만을 하며 마지못해서 `아이구' 하는 패들은 스스로 망한다는 것입니다.

가기를 슬퍼하는 그런 노정에 봄날이 어디 있으며, 여름날이 어디 있으며, 가을날이 어디 있으며, 겨울날이 어디 있겠느냐? `봄아 오너라, 내가 바라던 것이요, 여름아 오너라 내가 바라던 것이요, 가을아 오너라 내가 바라던 것이다. 이제는 내가 결실되었으니 폭풍우야 한번 들이쳐라. 북풍한설아, 몰아쳐라. 그것을 기쁨으로 맞아 가지고 남아질 수 있는 영광의 씨앗이 되고, 그 씨앗으로부터 봄날에 돋아나는 새싹이 될 것이다' 왜 그렇게 생각 못 하느냐 이거예요. 거기에서 `난 싫어' 하면 그것으로 죽는 거라구요. 고자리 같은 벌레가 먹든가 해서 꺾여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소망이 배가되어 가지고 천지에 없었던 수확기가 오기를 바라고, 천지 역사상에 단 한 번밖에 없는 무성한 여름계절이 오기를 바라고, 봄계절이 올 것을 바라고, 수확기를 지낸 뒤에 재봉춘할 수 있는 새날을 맞기 위해서는, 우리 `통일교회 자체 내에서 선생님이 들이치더라도 꺾이지 않는다. 한번 그럴 수 있는 시간이 왔으면 좋겠다' 왜 이런 기대를 못 갖느냐 이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