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7집: 나의 생애 1990년 01월 14일, 한국 본부교회 Page #195 Search Speeches

하나님께 선택되�" 종자가 되고 싶어하�" 인간

자, 그러면 나무 가운데 무슨 나무를 제일 좋아해요? 먹는 열매가 열리는 나무 가운데 사과나무? 사과나무보다 선생님은 밤나무를 좋아해요. 하나님께서는 지능을 가지고 만물을 지으셨으므로 밤송이 안에 있는 열매를 누구나 함부로 따 가서는 안 되겠기 때문에, 약재와 같이 귀하게 쓰려고 하는데 이 맛을 알면 전부가 손대서 막 따 가겠기 때문에 그걸 보호하기 위해서 가시를 입혀 놓으신 것입니다. 함부로 손대면 안 됩니다. `약방의 감초'라고 하는 말이 있지만 말이예요, 열매로서 밤도 한약에 안 들어가는 데가 없다구요.

밤이 무엇을 닮았느냐? 동그랗지요? 밤이 한 알 들어 있는 외밤이면 말이예요, 이건 심장에 좋아요, 심장에. 생긴 모양에 따라서 약효가 있습니다.

내가 어렸을 때 밤 따는 선수였는데, 잘못하다가 밤송이한테 여기 몇 번 얻어맞았어요. (웃음) 아, 이거 벼락치는 거보다 더해요. 아이구! (웃음) 그거 안 해본 사람은 이제라도 한번 해보라구요, 어떤가. 아, 그 떨어질 걸 생각지 않고 올려다보고 있는데 왕창 떨어지는 거예요, 이게. (웃음) 이 눈 위에 떨어지면 큰일날 텐데, 그래도 하나님이 보호하사 여기에 떨어졌다는 거예요. (웃음)

시골에 가게 되면, 주인이 밤을 다 따고 말이예요, 꼭대기에는 장대도 닿지 않고 또 올라가면 떨어지겠으니까 할수없이 맨 꼭대기 것은 여남은 송이를 남겨 놓습니다. 나는 그것 따는 걸 제일 좋아했어요. (웃음) 그래서 팔매질을 해 가지고, 몽둥이 이만한 거 가지고 후려갈겨 가지고 맞아서 떨어지면 쫓아가는 거예요. 가서 보면 밤송이가 서너 송이 누렇게 벌어져 가지고 알밤이 `나 봐라' 하고, `좋은 주인을 찾고 있다' 하고 선전하고 있다구요.

한번 탁 맞으면 서너 송이가 한꺼번에 떨어지는데, 밤알이 좋다고 통 통 통 튀어 도망갑니다. 세 송이를 따 가지고―밤송이가 두 알잡이는 되거든요―여섯 알이 도망갔는데, 그 숲속에서 다섯 알은 찾았는데 하나를 못 찾았다 이거예요. `그놈이 제일 클 것이다'고 생각될 때는 발로 그저 주변을 전부 다 밟고 이러면서 돌아다니는 거예요. (웃음) 그런 거 해봤어요? 해봤어요? 「예」못 해본 사람은 이제부터라도 해봐야 알지, 그렇지 않고는 몰라요. (웃음) 이래 가지고 한 시간 넘게라도 전부 다 밟아 가지고 찾는 거예요. 나무가 있으면 들이밀고 `여기는 없구나' 하고 말이예요. 발로 척 딛었을 때 밤알인 것 같아 `이거다!' 했는데 자갈돌이면 분해서 `이놈아!' 하면서 바윗돌에 들이 던져 까 버리고 말이예요. 거 굴러간 밤알 하나, 다섯 밤알은 남겨 놓고 그거 하나를 찾으려고 야단한다 이거예요. 아마 하나님도 그럴 거라구요, 나 닮았기 때문에. (웃음) 제일 좋은 종자가 있을 수 있다고 할 때는 틀림없이 그렇게 해서 제일의 종자를 남기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이 아니냐.

그래, 여러분은 무엇이 되고 싶어요? 좋은 종자를 원하는 하나님 앞에 선택되는 것이 소망이예요, 세계가 종자를 받겠다고 하는 데 선택되는 것이 소망이예요, 대한민국에서 필요로 하는 데 선택되는 것을 원하는 거예요,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데 선택되는 것을 원하는 거예요? 어떤 걸 원해요? 「하나님한테 선택되는 것을 원합니다」욕심들은 다 많구만! (웃음) 말은 쉽지만 어려운 거예요, 안 어려운 거예요? 「어렵습니다」얼마나 어려워요? 얼마나? 눈을 딱 감고 `숨을 안 쉰다―. 아이고, 참다가 나 죽는다' 하면서 아뜩해서 쓰러지더라도 안 쉬겠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어려워요? 그보다도 더 어렵겠소, 그보다는 쉽겠소? 「더 어렵습니다」알기는 아누만! 그러면 눈을 감고 힘을 주면 눈물 나오고 콧물 나오고 입물 나오고, 구멍 있는 데서는 다 나오는 자리에서 이를 깨물면서 쓰러지더라도 참을 수 있는 그거보다는 어렵겠어요, 쉽겠어요? 어렵겠나, 쉽겠나? 물어 보잖아, 이 쌍 것들아! 「어렵습니다」아침부터 기분 나쁘게, 재수 없게 왜 그래? (웃음)

새벽부터 욕을 해야 정신을 퍼뜩 차려요. (웃음) 어머니 아버지가 `요놈의 자식들! 요놈의 간나들! 왜 이렇게 늦잠을 자?' 해야 이불을 탁 차 버리고 순식간에 일어나지요. 그럴 때는 일어나도 기분이 좋아요. `야, 우리 엄마가 제일이다' 한다구요. `아이구, 에미고 뭣이고! 잠도 제대로 못 자게 한다'고 하는 것보다 벌떡 일어나는 재미가 얼마나 서늘해요? (웃음) 그럴 때는 `야, 우리 엄마 멋지다!' 해야 돼요.

여러분들도 지금 졸려고 하다가 선생님이 `이 쌍것들아!' 할 때 눈이 번쩍 뜨이고 `우리 선생님 얼마나…' 하는 거라구요. 마찬가지다 그 말이라구요. 때로는 그런 것도 필요하다 그 말이예요. 단 것만 먹으면 어떻게 돼요? 이 혓발이 녹아난다구요. 쓴 것도 먹어야 돼요.

오미자라는 것이 있잖아요, 오미자? 그게 약재가 되잖아요? 한꺼번에 오색 가지 맛을 보니 얼마나 혓바닥이 좋아하고 입이 좋아하겠어요? 입 안 전체가 오미자 자체가 되는 겁니다. 다섯 가지의 맛이 나는 것을 넣고 깨무는 입으로 말하면 왕궁이 벌어지는 거와 마찬가지입니다. 잔칫날이 벌어지는 거와 마찬가지라는 거예요. 맵고 달고 쓰고 시금털털하고, 그다음에 또 뭐요? 얄궂고. (웃음) 먹고 나서 쓱 할 때는 기분이 좋다는 것입니다.

종자가 되고 싶소, 안 되고 싶소? 「되고 싶습니다」아까도 말했지만, 씨라는 건 모든 뿌리로부터 연결돼요. 종자 중에 제일의 종자가 어떤 종자냐 하면, 종대 뿌리의 진액을 많이 받고 종대 순의 진액을 많이 받음과 동시에 모든 가지들의 진액을 몽땅 집약한 것입니다. 큰 종자라고 좋은 게 아닙니다. 모든 게 집약된, 꽝꽝 쥐면 작아지지요? 그런 씨가 되고 싶다는 거예요. 그것은 사람뿐만이 아니고 이 모든 존재세계가 다 바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