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0집: 본향 땅 1987년 11월 01일, 한국 용인연수원 Page #47 Search Speeches

본향길을 가" 데- 천하가 머리 숙일 공적을 나타내야

6천가정 여러분들이 부모님을 중심삼고 생각하게 될 때, 부모님이 고생함으로 말미암아 여러분이 현재 이와 같이 살 수 있다는 것은 대한민국적이 아니예요. 이것은 세계사적이요 천주사적인 혜택권 내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됩니다. 또 여러분들이 선생님의 고향을 자기의 고향이라고 하는데 그것을 사실로 믿고, 전라도 사람이 자기 고향은 다시 못가더라도 선생님의 고향은 가 봐야 되겠다는 결심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혁명적인 것입니다. 「아멘」 역사적이예요. 역사적입니다.

자고로 이것은 인류역사상 한 번밖에 없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일생에 있어서는 한 번 밖에 없는 것입니다. 선생님과 같이 선생님의 고향에 같이 갈 수 있고 인류의 본향 땅에 같이 갈 수 있는 자리에 설 수 있는 것은 한 시대밖에 없습니다. 안 그래요? 「그렇습니다」 이것을 찬양해야 됩니다. 한 시대밖에 없는 이 귀한…. 선생님을 중심삼고 가야 되겠나 안 가야 되겠나를 생각하게 될 때, 죽는 일이 있더라도 가지 않으면 안된다는 결정적 가치의 내용이 깃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무슨 말인지 알겠지요? 「예」

자, 고향 찾아가다가 삼팔선에서 총 맞아 죽은 첫번째 사람이 있단다면, 거기에 향리방문객으로서 제1 희생의 순교자라고 해서 비석을 세울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본향 땅을 찾아드는 모든 후대의 사람들이나 세계 통일교회 신자들은 그 비석 앞에 가서 머리를 숙일 것입니다. 그래요, 안 그래요? 「그렇습니다」

모험이 크고 위험이 커서 갈 수 없는 환경인데도 가다가 희생되면 될수록…. 희생하는 데는 기가 막히고 처참하게 희생되어야 돼요. 열사람의 동지가 다 희생됐다고 할 때, 그중에서도 한 사람이 눈깔이 빠지고 배가 갈라지고 팔다리가 잘라져서 죽었다 하면, 기념비에 이름을 쓸 때 누구의 이름부터 써야 되겠어요? 총 맞고 피를 제일 안 흘린 사람부터 써야 되겠지요? 「아닙니다」 그럼 뭐예요? 「제일 비참하게 죽은 사람의 이름부터 씁니다」 알긴 아누만! 제일 비참하게 죽은 사람의 이름을 크게 쓰는 것입니다. 그것을 쓰는 표준으로 정할 뿐만 아니라 두드러지게 쓰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것을 항의할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하늘나라에 간 선조들은 물론이요, 땅에 사는 후손들도 물론입니다. 알겠어요? 「예」

그러면 본향길을 가는 데 편히 갈래요, 비참하게 갈래요? 「비참하게 가겠습니다」 자, 비참하게 간다면, 김일성이 없을 때 가겠어요, 김일성이 있을 때 가겠어요? 「있을 때 가겠습니다」 김일성이 못 오게 총을 겨누고 있는데, 그걸 전부 밀어제끼고 소탕해 버리고 가겠어요, 가다 말고 스톱하겠어요? 「소탕해 버리고 가겠습니다」 문제는 그것입니다. 싸우다가 만약에 총알이 왼 눈에 맞고 오른 눈에 맞고, 그 다음에는 바른 귀가 맞고 왼 귀가 맞고, 코도 왼쪽 맞고 바른쪽 맞았다고 합시다. 엑스와이(XY)로 말이예요. 그렇게 곡절이 많게 총알을 맞은 사람이 있으면 어떠냐? 그런 사람이 우선입니다.

자, 아낙네가 그렇게 죽은 남편을 추모하며 혼자 팔순이 넘게 살았다고 합시다. 세계 사람들이 전부 통일교회화됐다면 그 팔순 난 할머니가 가난하게 살겠어요, 부자로 살겠어요? 「부자로 삽니다」 매일같이 예물이 들어와 산더미처럼 쌓이고, 그 예물 위에서 딩굴고 살 것입니다. 예물이 방안에 꽉찰 것이고 동네까지 꽉찰 것입니다. 그럴 때에 그 할머니가 '그놈의 영감, 내가 가지 말라고 했는데 가더니 귀찮게 죽어 가지고 오늘날 이렇게 예물 때문에 죽게 됐으니 분하다' 그러겠어요? 감사의 눈물이 언제나 마르지 않고, 존경의 눈물이 뼛골에 흘러들고 그 눈물이 땅을 적실 것입니다. 거기에는 천하가 머리를 숙일 것입니다.

가냘픈 한 여인으로서 남편을 모시는 데에 있어서 천하가 엄숙한 자리에서 머리 숙일 수 있는 위대한 공적을 나타냈다고 한다면, 그러한 여성이 되었다면 이는 여성 중에서 위대한 여성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한 아내가 있다면, 그 이상 자랑할 수 있는 아내가 없지 않겠느냐 이겁니다. 그래요, 안 그래요? 선생님의 말이 맞아요? 「예, 맞습니다」

오늘 어머니를 모시고 오면서 '아이고, 내가 70이 가까워 피곤하지만 이것들이 전부 앉아서 기다리고 있을 테니, 내가 식구들을 위해서라면 고달프더라도 이 길을 가야 된다' 그러고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수) 아아아, 더 추억적이요 더 인상적이요 기록적인 사건이라면, 선생님이 오다가 차 사고가 나서 다리가 부러졌더라도 이 자리에 참석해서 피를 흘리면서 얘기한다면 그것이 얼마나 역사적일 것이냐 이거예요. 그럴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의 기준이라는 것은 무한한 기준으로 깊고 높게 확대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됩니다.